오사카부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카부 선거구는 오사카부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8명의 참의원 의원 정수 중 4명을 개선하며, 2022년 9월 기준 유권자 수는 7,322,198명이다. 역대 의원 목록과 최근 선거 결과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부의 선거구 - 오사카부 제13구
오사카부 제13구는 히가시오사카시 전체를 관할하는 일본 오사카부의 중의원 선거구로, 소선거구제 도입 후 자유민주당과 일본유신회의 경쟁이 치열하며 다양한 정당 후보들이 경합하는 지역이다. - 오사카부의 선거구 - 오사카부 제12구
오사카부 제12구는 네야가와시, 다이토시, 시조나와테시를 지역구로 하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이며,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신설되어 1996년부터 소선거구제로 운영된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오사카부 선거구 | |
---|---|
개요 | |
명칭 | 오사카부 선거구 |
로마자 표기 | Osaka-ken senkyoku |
종류 | 의회 선거구 |
의회 | 참의원 |
해당 행정 구역 | 오사카부 |
유권자 수 (2022년 9월 기준) | 7,322,198명 |
선거구 설정 년도 | 1947년 |
의석 수 | 8석 |
선출 의원 (2024년 5월 16일 기준) | |
2019년 선출 | 우메무라 미즈호 (일본유신회) 아즈마 도루 (일본유신회) 스기 히사타케 (공명당) 오타 후사에 (자유민주당) |
2022년 선출 | 다카기 가오리 (일본유신회) 마쓰카와 루이 (자유민주당) 아사다 히토시 (일본유신회) 이시카와 히로타카 (공명당) |
지도 정보 | |
![]() |
2. 선거구 정보
지역 | 오사카부 전역 |
---|---|
의원 정수 | 8명 (개선 정수 4명) |
유권자 수 | 7,322,198명 (2022년 9월) |
1947년 참의원 선거 이후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 공명당, 일본공산당, 민주당, 일본유신회 등 다양한 정당 소속 의원들이 오사카부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특히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요코야마 노크, 니시카와 기요시와 같은 무소속 의원들이 연이어 당선되어 주목을 받았다.[7][8]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까지의 정원은 6명(개선 3명)이었다.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부터 현행 정원이 되었다.
3. 역대 의원
3. 1. 역대 의원 목록 (표)
홀수회 | 짝수회 | ||||||||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의원 4 | 선거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의원 4 | |
이와키 데쓰로 (민주당) | 모리시타 마사카즈 (일본사회당) | 나카이 미쓰지 (민주당) | rowspan=27 bgcolor=lightgrey| | 1947년 제1회 | 사토 기센 (일본자유당)[9] | 오야 신조 (일본자유당)[9] | 무라오 시게오 (일본사회당)[9] | rowspan=28 bgcolor=lightgrey| | |
1950년 제2회 | 오야 신조 (자유당) | 무라오 시게오 (일본사회당) | 사토 기센 (자유당) | ||||||
나카야마 후쿠조 (녹풍회) | 미조부치 하루지 (자유당) | 1951년 보궐 | |||||||
모리시타 마사카즈 (사회당 우파) | 나카야마 후쿠조 (녹풍회) | 가메다 도쿠지 (사회당 좌파) | 1953년 제3회 | ||||||
1956년 제4회 | 사토 기센 (자유민주당) | 쓰바키 시게오 (일본사회당) | 시라키 기이치로 (무소속) | ||||||
오카와 미쓰조 (자유민주당) | 1957년 보궐 | ||||||||
아카마 분조 (자유민주당) | 무라오 시게오 (일본사회당) | 가메다 도쿠지 (일본사회당) | 1959년 제5회 | 1959년 보궐 | 오카와 미쓰조 (자유민주당) | ||||
1962년 제6회 | 쓰바키 시게오 (일본사회당) | 시라키 기이치로 (무소속) | 나카야마 후쿠조 (자유민주당) | ||||||
아카마 분조 (자유민주당) | 다시로 후지오 (공명당) | 가메다 도쿠지 (일본사회당) | 1965년 제7회 | ||||||
1968년 제8회 | 나카야마 다로 (자유민주당) | 시라키 기이치로 (공명당) | 무라오 시게오 (민사당) | ||||||
아카마 분조 (자유민주당) | 다시로 후지오 (공명당) | 사사키 시즈코 (일본사회당) | 1971년 제9회 | ||||||
구쓰누기 다케코 (일본공산당) | 1973년 보궐 | ||||||||
1974년 제10회 | 나카야마 다로 (자유민주당) | 시라키 기이치로 (공명당) | 하시모토 아쓰시 (일본공산당) | ||||||
모리시타 다이 (자유민주당) | 다시로 후지오 (공명당) | 구쓰누기 다케코 (일본공산당) | 1977년 제11회 | ||||||
1980년 제12회 | 나카야마 다로 (자유민주당) | 나카무라 에이이치 (무소속) | 시라키 기이치로 (공명당) | ||||||
요코야마 노크 (무소속) | 다시로 후지오 (공명당) | 모리시타 다이 (자유민주당) | 1983년 제13회 | ||||||
1986년 제14회 | 니시카와 기요시 (무소속) | 미네야마 아키노리 (공명당) | 구쓰누기 다케코 (일본공산당) | ||||||
쓰보이 가즈타카 (자유민주당) | 1987년 보궐 | ||||||||
요시이 히데카쓰 (일본공산당) | 1988년 보궐 | ||||||||
다니하타 다카시 (일본사회당) | 요코야마 노크 (무소속) | 시라하마 가즈요시 (공명당) | 1989년 제15회 | ||||||
1992년 제16회 | 니시카와 기요시 (무소속) | 야마시타 에이이치 (공명당) | 쓰보이 가즈타카 (자유민주당) | ||||||
시라하마 가즈요시 (신진당) | 야마시타 요시키 (일본공산당) | 다니가와 슈젠 (자유민주당) | 1995년 제17회 | ||||||
1998년 제18회 | 니시카와 기요시 (무소속) | 야마시타 에이이치 (공명당) | 미야모토 다케시 (일본공산당) | ||||||
다니가와 슈젠 (자유민주당) | 시라하마 가즈요시 (공명당) | 야마모토 다카시 (민주당) | 2001년 제19회 | ||||||
2004년 제20회 | 오다치 모토유키 (민주당) | 야마시타 에이이치 (공명당) | 기타가와 잇세이 (자유민주당) | ||||||
우메무라 사토시 (민주당) | 시라하마 가즈요시 (공명당) | 다니가와 슈젠 (자유민주당) | 2007년 제21회 | ||||||
2010년 제22회 | 이시카와 히로타카 (공명당) | 기타가와 잇세이 (자유민주당) | 오다치 모토유키 (민주당) | ||||||
아즈마 도루 (일본유신회) | 야나기모토 다쿠지 (자유민주당) | 스기 히사타케 (공명당) | 다쓰미 고타로 (일본공산당) | 2013년 제23회 | |||||
2016년 제24회 | 마쓰카와 루이 (자유민주당) | 아사다 히토시 (오사카 유신회) | 이시카와 히로타카 (공명당) | 다카기 가오리 (오사카 유신회) | |||||
우메무라 미즈호 (일본유신회) | 아즈마 도루 (일본유신회) | 스기 히사타케 (공명당) | 오타 후사에 (자유민주당) | 2019년 제25회 | |||||
2022년 제26회 | 다카기 가오리 (일본유신회) | 마쓰카와 루이 (자유민주당) | 아사다 히토시 (일본유신회) | 이시카와 히로타카 (공명당) |
4. 최근 선거 결과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까지 오사카부 선거구의 정원은 6명(개선 3명)이었으나,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부터 현행 정원인 4명으로 조정되었다.
1983년부터 1998년까지 요코야마 넉크, 니시카와 키요시와 같은 코미디언 출신 후보들이 당선되면서, 언론에서는 "웃음표", "웃음 백만 표"가 존재한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자유민주당 후보가 이 기간 동안 3번 낙선했으며, 보궐 선거를 포함하면 4번 낙선했다.
2012년 오사카부 지사 및 오사카 시장이었던 하시모토 도루가 일본유신회를 창립한 이후, 일본유신회는 오사카부 선거구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며 2016년부터 2명 당선을 이어가고 있다.[7][8] 반면, 민주당 계열 정당은 2010년 선거 이후 당선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최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23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3년) | 아즈마 토루 | 일본유신회 | 1,056,815 |
야나기모토 다쿠지 | 자유민주당 | 817,943 | |
스기 히사타케 | 공명당 | 697,219 | |
다쓰미 고타로 | 일본공산당 | 468,904 | |
우메무라 사토시 | 민주당 | 337,378 | |
아자마 하지메 | 모두의 당 | 157,969 | |
요시하 미카 | 신당 대지 | 56,573 | |
후지시마 토시히사 | 무소속 | 20,928 | |
나카무라 마사루 | 21세기 일본 유신회 | 20,155 | |
나가네 타다시 | 무소속 | 17,671 | |
모리 에츠히로 | 행복실현당 | 14,178 |
- 당선자 전원이 신인인 것은 제1회 참의원 통상선거 이후 처음이다.(보궐선거 제외)
- 우메무라 사토시는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일본유신회 공천으로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22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0년) | 이시카와 히로타카 | 공명당 | 864,278 |
기타가와 잇세이 | 자유민주당 | 706,986 | |
오타테 모토유키 | 민주당 | 698,933 | |
오카베 마리 | 민주당 | 617,932 | |
가와히라 타이조 | 모두의 당 | 389,445 | |
시미즈 타다시 | 일본공산당 | 366,105 | |
야마와케 넬슨 쇼코 | 신당 개혁 | 106,038 | |
오카와 아키코 | 사회민주당 | 87,858 | |
하마노 유키코 | 일본창신당 | 51,527 | |
후카타 토시코 | 행복실현당 | 21,027 |
- 시미즈 타다시는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비례 긴키 블록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2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7년) | 우메무라 사토시 | 민주당 | 1,281,502 |
시라하마 가즈요시 | 공명당 | 836,903 | |
타니가와 히데요시 | 자유민주당 | 732,175 | |
미야모토 타케시 | 일본공산당 | 585,620 | |
시라이시 준코 | 국민신당 | 161,909 | |
핫토리 료이치 | 사회민주당 | 141,867 | |
우에다 타케시 | 무소속 | 54,587 | |
하야시 쇼노스케 | 무소속 | 50,878 | |
오타니 요시오 | 무소속 | 18,986 |
- 미야모토 타케시, 핫토리 료이치는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비례 긴키 블록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20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4년) | 오타테 모토유키 | 민주당 | 910,597 |
야마시타 에이이치 | 공명당 | 795,256 | |
기타가와 잇세이 | 자유민주당 | 735,164 | |
쓰지모토 기요미 | 무소속 | 718,125 | |
미야모토 타케시 | 일본공산당 | 442,755 | |
마스다 요시오 | 무소속 | 34,819 | |
오기토 토요카즈 | 유신정당·신풍 | 13,916 |
- 쓰지모토 기요미는 다음 해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사민당 공천으로 오사카 10구에서 출마하여 비례대표로 부활 당선되었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19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1년) | 타니가와 히데요시 | 자유민주당 | 982,887 |
시라하마 가즈요시 | 공명당 | 864,154 | |
야마모토 타카시 | 민주당 | 602,312 | |
야마시타 요시후 | 일본공산당 | 594,063 | |
와타나베 요시히코 | 자유당 | 195,508 | |
기타오카 타카히로 | 고이즈미의 모임 | 116,216 | |
도이 가즈코 | 여성당 | 101,449 | |
오가와 토모히코 | 자유연합 | 33,379 | |
가시와모토 게이지 | 신사회당 | 26,007 | |
모리모토 쿄사 | 무소속 | 24,715 | |
나카타니 류이치 | 유신정당·신풍 | 11,780 |
- 야마모토 타카시, 야마시타 요시후는 2007년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참의원 비례대표로 전출하여 당선되었다.
- 와타나베 요시히코는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민주당 공천으로 비례 긴키 블록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18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8년) | 니시카와 기요시 | 무소속 | 1,057,393 |
야마시타 에이이치 | 공명당 | 872,294 | |
미야모토 타케시 | 일본공산당 | 725,385 | |
쓰보이 가즈우 | 자유민주당 | 573,610 | |
나카츠카사 마사히로 | 민주당 | 542,581 | |
나가사키 유미코 | 사회민주당 | 116,552 | |
도이 가즈코 | 여성당 | 29,521 | |
모리모토 고지 | 자유연합 | 28,340 | |
마에다 준이치 | 신사회당 | 20,326 | |
오키 세츠코 | 청년자유당 | 12,560 | |
나카노 토시오 | 무소속 | 7,598 | |
야마구치 야스오 | 무소속 | 7,337 | |
나카타니 류이치 | 유신정당·신풍 | 5,720 |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
제17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5년) | 시라하마 가즈요시 | 신진당 | 1,015,919 |
야마시타 요시후 | 일본공산당 | 497,549 | |
타니가와 히데요시 | 자유민주당 | 470,339 | |
후쿠마 레이코 | 무소속 | 204,506 | |
사쓰마 우사부로 | 무소속 | 31,631 | |
시노하라 후사코 | 새로운 시대를 만드는 당 | 28,133 | |
나카노 마리코 | 헌법 미도리 농의 연대 | 21,612 | |
가토 세이이치 | 무소속 | 11,379 | |
이토 요시오 | 일본복지당 | 11,218 | |
나카무라 아쓰시 | 자유와 표현 | 9,142 | |
마쓰자키 야스오 | 일본복지당 | 8,716 | |
쓰다 나오미 | 신자유당 | 8,421 | |
후쿠다 에이지 | 미도리와 생명의 시민·농민연합 | 7,575 | |
이다 슈코 | 무소속 | 7,292 | |
오카야스 야스오 | 신자유당 | 6,571 | |
야마구치 난코 | 무소속 | 5,390 | |
쓰기나 아키요시 | 전일본 드라이버즈 클럽 | 5,269 | |
타니 도오루 | 국민당 | 3,853 | |
고토 가오루 | 전일본 드라이버즈 클럽 | 3,501 | |
히토미 야스유키 | 교육당 | 3,298 | |
스게노 유키 | 전일본 드라이버즈 클럽 | 3,296 | |
도야 사치코 | 문화 포럼 | 2,957 | |
다카하시 토시유키 | 자유와 표현 | 2,838 | |
이치카와 미노루 | 국민당 | 2,818 | |
다카하시 이쿠코 | 잡민당 | 2,806 | |
안자이 아케미 | 일본 세상 바꾸는 당 | 2,569 | |
노나카 가즈오 | 「개성론」의 UFO당 | 2,416 | |
니와노 마사토시 | 교육당 | 2,290 | |
마쓰시타 마사토시 | 문화 포럼 | 2,258 | |
다카하시 미도리 | 일본 세상 바꾸는 당 | 2,205 | |
사사키 마코토 | 평민당 | 2,174 | |
고바야시 마사미 | 일본 국민 정치 연합 | 2,136 | |
구보 타카오 | 평민당 | 2,003 | |
시미즈 히로키 | 서민의 목소리 | 1,576 | |
나가누마 테츠오 | 서민의 목소리 | 1,570 | |
스즈키 이치로 | 프리워크 유니온 | 1,524 | |
스기야마 미치마사 | 일본 세상 바꾸는 당 | 1,510 | |
모리야 가쓰토시 | 「개성론」의 UFO당 | 1,472 | |
무토 타카시 | 서민의 목소리 | 1,387 | |
시모다 겐이치 | 새로운 정치의 바람 | 1,359 | |
가토 야스코 | 일본 국민 정치 연합 | 1,224 | |
이와사키 마사아키 | 새로운 정치의 바람 | 1,147 |
4. 1. 최근 선거 결과 상세 (표)
선거명 |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 (2022년) | 다카기 가오리 | 일본유신회 | 862,736 | 23.09 | 당선 |
마쓰카와 루이 | 자유민주당 | 725,243 | 19.41 | 당선 | |
아사다 히토시 | 일본유신회 | 598,021 | 16.01 | 당선 | |
이시카와 히로타카 | 공명당 | 586,940 | 15.71 | 당선 | |
다쓰미 고타로 | 일본공산당 | 337,467 | 9.03 | ||
이시다 도시타카 | 입헌민주당 | 197,975 | 5.30 | ||
야하타 아이 | 레이와 신센구미 | 110,767 | 2.96 | ||
오타니 유리코 | 국민민주당 | 103,052 | 2.76 | ||
아부라타니 세이치로 | 참정당 | 97,426 | 2.61 | ||
니시타니 히사요시 | 유신정당·신풍 | 37,088 | 0.99 | ||
요시다 히로유키 | NHK당 | 21,663 | 0.58 | ||
니시카와 교코 | NHK당 | 13,234 | 0.35 | ||
마루요시 다카후미 | NHK당 | 11,220 | 0.30 | ||
혼다 가오리 | 일본제일당 | 9,138 | 0.24 | ||
가즈모리 게이고 | 행복실현당 | 8,111 | 0.22 | ||
다카야마 준자부로 | NHK당 | 7,254 | 0.19 | ||
고토 요시히로 | 신당 구니모리 | 6,217 | 0.17 | ||
오시코시 세이치 | 깨어나라 일본당 | 2,440 | 0.07 | ||
유권자 수: 7,299,848명, 투표율: 52.45% | |||||
제2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 (2019년) | 우메무라 미즈호 | 일본유신회 | 729,818 | 20.88 | 당선 |
아즈마 도루 | 일본유신회 | 660,128 | 18.89 | 당선 | |
스기 히사타케 | 공명당 | 591,664 | 16.93 | 당선 | |
오타 후사에 | 자유민주당 | 559,709 | 16.01 | 당선 | |
다쓰미 고타로 | 일본공산당 | 381,854 | 10.93 | ||
가메이시 미치코 | 입헌민주당 | 356,177 | 10.19 | ||
니샨타 | 국민민주당 | 129,587 | 3.71 | ||
오자키 마사노리 |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 43,667 | 1.25 | ||
하마다 다케시 | 안락사 제도를 생각하는 모임 | 14,732 | 0.42 | ||
가즈모리 게이고 | 행복실현당 | 11,203 | 0.32 | ||
아다치 미키요 | 올리브나무 | 9,314 | 0.27 | ||
사사키 이치로 | 노동 해방을 목표로 하는 노동자당 | 7,252 | 0.21 | ||
유권자 수: 7,311,131명, 투표율: 48.63% | |||||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3] (2016년) | 마쓰카와 루이 | 자유민주당 | 761,424 | 20.41 | 당선 |
아사다 히토시 | 오사카 유신회 | 727,495 | 19.50 | 당선 | |
이시카와 히로타카 | 공명당 | 679,378 | 18.21 | 당선 | |
다카기 가오리 | 오사카 유신회 | 669,719 | 17.95 | 당선 | |
와타나베 유이 | 일본공산당 | 454,502 | 12.18 | ||
오다치 모토유키 | 민진당 | 347,753 | 9.32 | ||
후루카와 히데오 | 일본의 마음을 소중히 하는 당 | 37,913 | 1.02 | ||
사노 아케미 | 지지정당 없음 | 36,646 | 0.98 | ||
가즈모리 게이고 | 행복실현당 | 16,532 | 0.44 | ||
유권자 수: 7,292,841명, 투표율: 52.23% |
참조
[1]
웹사이트
総務省|令和4年9月1日現在選挙人名簿及び在外選挙人名簿登録者数
https://www.soumu.go[...]
2023-01-04
[2]
웹사이트
Weighing Vote Disparity in Japan's Upper House
http://www.nippon.co[...]
2015-07-30
[3]
웹사이트
平成27年9月2日現在選挙人名簿及び在外選挙人名簿登録者数
http://www.soumu.go.[...]
2015-09-02
[4]
웹사이트
List of Former Councillors (Ma to Wa)
House of Councillors
2007
[5]
웹사이트
List of Former Councillors (A to Sa)
House of Councillors
2007
[6]
웹사이트
List of Former Councillors (Ta to Ha)
House of Councillors
2007
[7]
뉴스
維新の強気戦略が奏功 大阪ワンツー、強まる発言力
https://www.nikkei.c[...]
[8]
뉴스
維新の力圧倒 与党防戦、他の野党は埋没 大阪、兵庫選挙区
https://mainichi.jp/[...]
[9]
문서
임기는 3년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